
은행가는길에 올해도 어김없이 피어잇는 능소화를 보면서 ... 망설임끝에 디카를 들이댄다...
비록 우산을 쓰고 찍는 능소화일지라도 ... 꽃이나 여인이나 촉촉함을간직할때가 가장 아름다운법아닌가 ㅎㅎㅎ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소화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 오지를 않았어요. 소화가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더라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아마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봅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어디 한 둘이었겠습니까?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 까지 기거 하게 된 소화는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 오기만을 기다렸지요.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너머 쳐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답니다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이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으로 세상을 뜨게 되었습니다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했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조차도 치루어 지지 않고 "담장가에 묻혀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라고 애닮픈 유언을 남긴채 그렇게 사라져 갔습니다. 이듬해 여름, '소화'가 살았던 처소의 담장을 덮으며 주홍빛 꽃이 넝쿨을 따라 주렁주렁 피어났는데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고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피었으니 그것이 능소화입니다.

이렇게 슬픔을 간직하고 눈물머금고있기에 더욱더 슬픈 ...

태양이 이글거리는 한여름날 형광의 주홍빛을 내뿜으며 피어있는 능소화 화사함 뒤에 서려있는 여인의 한 때문일까요? 화려해서 더 슬픈꽃 능소화 화관이 통째로 떨어져 낙화의 순간까지도 고운 빛깔과 형태를 간직한 채 내려앉음으로서 의연한 기품을 잃지 않는 꽃 그러나 한이 서린 꽃이라 그럴까요?

꽃술에는 독성이 있어 함부로 따서 가지고 놀수 없기에 더 아름다워 보이는 능소화 지금 담장에는 옆집 베란다를 타고 흐드러지게 피어난 능소화

유독 이집에는 능소화가 많이핀다

해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오늘따라 비내리는 능소화의모습이 ...

이쁜모습과 슬픔을 동시에 간직하고있는 능소화... 아 나도 애절한 사랑을한번이라도 ㅎㅎㅎ

사무실밑에있기에...

참이쁘죠~잉... ㅎㅎ

무궁화 삼천리 화려함에...

이렇게 한컷했심다,,,

쥬피터 신은 갓난 헤라클레스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고 싶었습니다. 하루는 그의 아내 쥬노를 잠재우고 헤라클레스에게 쥬노의 젖을 빨게 하였습니다 젖을 빨던 헤纘Х뭣별?몹시 보채자 쥬노의 젖이 땅에 몇방울 떨어졌습니다. 아름다운 쥬노의 젖방울이 떨어진 자욱에 향기로운 백합꽃이 피었습니다.

또, 옛날 아리스라는 소녀를 탐내는 못된 성주가 있었습니다. 아리스는 갖은 방법으로 성주의 손아귀를 벗어나려고 애를 썼습니다. 그러나 힘이 모자랐습니다. 아리스는 성모마리아 앞에 꿇어 앉아 기도를 올렸습니다. 마리아는 어여쁜 아리스를 한송이 아름다운 향기 높은 백합꽃이 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백합은 기독교의 의식에 많이 사용됩니다


도라지가 와 꼽사리 낑기갖고 ㅎㅎ

옛날에는 꽃의 감상 이전에 식량 해결이급선무였기 때문에 백합 역시 화려한 꽃보다는 식량이나 약재가 되는뿌리(구근)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백합이라는 이름도 식량이 되는 구근을 중심으로 해서 붙여진 것으로 약 1백여 개의 비늘이 하나의구근을 이루기 때문에 백합(百合)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옛날 어떤 섬 사람들이 식량이 많이 부족하여 백합 뿌리를 식량대용으로 해서 먹고 있던 중 그 중에 한 사람이 폐병에 걸렸는데 먹을 것이라고는그것 밖에 없어 먹었는데 그것을 먹고 나서 몇일이 지나 몸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해안가로 배 한 척이 다가왔는데 그 배는 섬을 오가면서 약초를 캐는 사람들이 타고 온 배였다. 그들은그간의 자초지정을 듣고 신기해하면서 물어보왔다. 식량도 마땅치 않은 이곳에서 어떻게그렇게 오랫동안 있을 수 있었습니까? 그 말에 여자들은 그 뿌리를 보이며 "이것을 먹고 지냈습니다 그 뿌리를 건네받고 맛을 보더니 "아! 이것은 약효가 있는 뿌리야" 그런데 그들이 가지고 온 배는 너무 작아 더 큰 배를 가지고 오기로 하고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지금 여기 있는 사람은 모두 몇 사람입니까?" 그러자 대답하기를 "모두 합해서 백명입니다" 결국 여자들과 아이들은 다시 마을로 돌아오고 약 캐는 사람들은 그 뿌리로 기침이나 폐병 환자에게 써보니 정말로 효과가 좋았다 그때 처음 발견된 그 약초는 이름이 없었기에 그 섬에 있던 사람의 합이 백명이라는 의미로 백합(百合)>으로 이름을지었다고 합니다 .

이것은 옆에 있길래... ㅎㅎ

이뿌더마 찍어놓으니 별로네여... 그래도 이쁘게 봐주시고.................. |